티스토리 뷰
목차
간혹 집에 굴러다니는 오래된 연고 또는 유통기한 지난 약, 아이들이 감기 걸렸을 때 먹다 남은 물약이나 시럽, 캡슐약, 알약, 가루약, 안약 등을 버려야 하는데, 그냥 버려도 되나? 하는 고민해 보신 적 있으시죠? 그냥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되는지, 안에 내용물을 버리고 용기는 분리수거해서 버려야 되는지 저도 고민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이글에서는 폐의약품을 어떻게 버리면 좋은지에 대해 올바른 폐의약품 배출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폐의약품'이란?
폐의약품은 말 그대로 손상되어 쓰지 못하는 약제, 먹다 남긴 약제, 환자가 회복돼서 더 이상 복용하지 않는 약제, 사용 기간이 지나거나 유통기한이 만료된 약제 등을 말합니다. 올바르게 폐기되어야 하나
2. 폐의약품 막 버리면 안 되는 이유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되지 않을 경우, 잘못된 폐의약품 사용으로 인해 우리의 건강을 해 칠 뿐만 아니라, 부적절한 처리 또는 잘못된 폐기 방법으로 인해 수질, 공기, 토양 등의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태계교란까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쓰레기나 음식물쓰레기와 혼합 배출하거나 하수구를 통해 버리지 마시고, 올바른 폐기방법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3. '폐의약품 집중 수거의 날' 들어보셨나요?
폐의약품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자 각 지자체나 기관에서는 '폐의약품 집중수거의 날' 기간을 정하여 집중적으로 가정 내 있는 폐의약품을 수거하는 이벤트를 합니다. 자원봉사활동 1시간을 인정해 주는 곳도 있으니, 각 지역 관할 보건소, 환경부, 시청사무소 등 관련 기관 팸플릿이나 공지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폐의약품 올바른 폐기 및 배출방법
다음과 같이 폐의약품을 폐기하시거나 배출하시면 됩니다. 다만, 각 지역마다 규정이 상이할 수 있으니 해당 기관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① 병원에서도 주사 맞은 후 사용한 솜이나 밴드 또는 피가 묻은 거즈 등의 경우에도 따로 비치된 수거함에 버리죠? 마찬가지로 보건소 또는 병원, 약국에 가시면 비치된 전용수거함에 폐의약품을 버리시면 됩니다.
② 폐의약품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수거 업체를 통해 안전하게 버립니다.
③ 가정 내 있는 폐의약품을 직접 버릴 경우 약품마다 특성이 다르기에 분리하여 폐기하여야 합니다.
- 가루약 : 뜯지 말고 약 포장지 그대로 버립니다.
- 연고·안약: 용기 그대로 버립니다.
- 캡슐약·알약: 밀폐용 비닐에 알약과 캡슐만 따로 모아서 버립니다.
- 물약·시럽: 한 병에 모아서 새지 않게 버립니다.
위 안내드린 것처럼 약품별로 분리가 필요하며, 종량제쓰레기나 플라스틱 등에 버리도록 합니다.
지금까지 폐의약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내가 모르고 버린 폐의약품쓰레기가 어디선가 환경오염을 유발하거나 유해폐기물이 될 수 있다는 거 이제 정확히 아셨나요? 앞으로 약국이나 병원, 보건소 등에 갈 때는 폐의약품 챙겨서 버리시는 것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우리 모두 폐의약품을 올바르게 배출하여 지구의 환경과 건강을 지키는 데 동참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