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혹 집에 굴러다니는 오래된 연고 또는 유통기한 지난 약, 아이들이 감기 걸렸을 때 먹다 남은 물약이나 시럽, 캡슐약, 알약, 가루약, 안약 등을 버려야 하는데, 그냥 버려도 되나? 하는 고민해 보신 적 있으시죠? 그냥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되는지, 안에 내용물을 버리고 용기는 분리수거해서 버려야 되는지 저도 고민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이글에서는 폐의약품을 어떻게 버리면 좋은지에 대해 올바른 폐의약품 배출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폐의약품은 말 그대로 손상되어 쓰지 못하는 약제, 먹다 남긴 약제, 환자가 회복돼서 더 이상 복용하지 않는 약제, 사용 기간이 지나거나 유통기한이 만료된 약제 등을 말합니다. 올바르게 폐기되어야 하나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되지 않을 경우, 잘못된 폐의약품 사용으로 인해 우리의 건강을 해 칠 뿐만 아니라, 부적절한 처리 또는 잘못된 폐기 방법으로 인해 수질, 공기, 토양 등의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태계교란까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쓰레기나 음식물쓰레기와 혼합 배출하거나 하수구를 통해 버리지 마시고, 올바른 폐기방법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폐의약품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자 각 지자체나 기관에서는 '폐의약품 집중수거의 날' 기간을 정하여 집중적으로 가정 내 있는 폐의약품을 수거하는 이벤트를 합니다. 자원봉사활동 1시간을 인정해 주는 곳도 있으니, 각 지역 관할 보건소, 환경부, 시청사무소 등 관련 기관 팸플릿이나 공지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과 같이 폐의약품을 폐기하시거나 배출하시면 됩니다. 다만, 각 지역마다 규정이 상이할 수 있으니 해당 기관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① 병원에서도 주사 맞은 후 사용한 솜이나 밴드 또는 피가 묻은 거즈 등의 경우에도 따로 비치된 수거함에 버리죠? 마찬가지로 보건소 또는 병원, 약국에 가시면 비치된 전용수거함에 폐의약품을 버리시면 됩니다.
② 폐의약품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수거 업체를 통해 안전하게 버립니다.
③ 가정 내 있는 폐의약품을 직접 버릴 경우 약품마다 특성이 다르기에 분리하여 폐기하여야 합니다.
- 가루약 : 뜯지 말고 약 포장지 그대로 버립니다.
- 연고·안약: 용기 그대로 버립니다.
- 캡슐약·알약: 밀폐용 비닐에 알약과 캡슐만 따로 모아서 버립니다.
- 물약·시럽: 한 병에 모아서 새지 않게 버립니다.
위 안내드린 것처럼 약품별로 분리가 필요하며, 종량제쓰레기나 플라스틱 등에 버리도록 합니다.
지금까지 폐의약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내가 모르고 버린 폐의약품쓰레기가 어디선가 환경오염을 유발하거나 유해폐기물이 될 수 있다는 거 이제 정확히 아셨나요? 앞으로 약국이나 병원, 보건소 등에 갈 때는 폐의약품 챙겨서 버리시는 것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우리 모두 폐의약품을 올바르게 배출하여 지구의 환경과 건강을 지키는 데 동참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