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여름철에는 실온이 높고, 습하다 보니 음식이 쉽게 상하고 변질되기 쉽습니다. 그래서 무더운 여름이 되면 질병에 노출될까 무서워 물 한 모금을 마셔도 이거 마셔도 되나 하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들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 우리는 식품이나 식기 등을 제대로 관리해줘야 합니다. 장염이나 식중독 등의 질병에 노출되지 않도록 위생 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식중독 예방 위생관리 방법 17가지, 식중독 이란?, 식중독 걸렸을 때 주의사항

     

    ** 식중독 이란?

      식중독은 원인 물질에 따라 '바이러스성 식중독, 화학성 식중독, 자연독 식중독, 세균성 식중독' 등의 4가지로 분류됩니다. 식중독은 주로 음식을 덜 익혔거나, 변질된 것을 먹었거나 또는 식기 및 조리도구의 오염된 균에 의해 설사, 구토, 열, 두통, 어지럼증, 복통, 수포 등을 동반하며 자연독 식중독보다는 대부분 세균 또는 세균의 독소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말합니다. 다만, 구토와 설사를 유발하는 감염병인 장관감염증에 속한 장염도 식중독과 마찬가지로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므로 헷갈릴 수 있습니다. 또한 전체 식중독의 70%을 차지하는 세균성 식중독일 가능성이 크지만, 혹시라도 독버섯이나 복어 등으로 인한 자연독 식중독일 경우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꼭 가까운 병의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식중독 예방 위생관리 방법 17가지

    (1) 손을 씻을 때는 고체 비누보다 액체 비누를 사용하여 손가락 사이사이 손등, 손톱까지 골고루 문질러서 흐르는 물로 깨끗하게 30초 이상 씻어줍니다.

    (2) 식품 및 식자재, 조리기구 등을 다루기 전 또는 조리 중에는 손에 식중독균이 묻어 있을 수 있으므로, 조리하는 중간중간에 손을 자주 씻어줍니다.

    (3) 조리에 사용되는 식기구는 약 10분간 세척, 소독하여 2차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해 줍니다.

    (4) 달걀 보관 시에는 냉장고 문쪽이 아닌 전용 보관용기, 보관트레이, 보관함 등에 담아 보관해야 합니다. 또한 계란은 둥근 부분에 숨구멍이 있기 때문에 위쪽을 향하게 하고, 뾰족한 부분아래쪽을 향하게 놓아줍니다.

    (5) 조리 후에는 가스레인지, 조리대 등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 소독을 해줍니다.

    (6) 행주는 사용 후 햇빛에 잘 말려 건조해주고, 정기적으로 한 번씩 삶아 줍니다.

    (7) 요리하기 전 모든 식품은 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을 확인하여 사용하고, 설명서에 기재된 보관방법 읽어보고 그에 따라 보관합니다.

    (8) 유통기한, 소비기한이 임박하거나 다 된 것은 빨리 사용하거나 먹고, 기한이 경과했거나 부패, 변질된 식재료 및 식품은  냄새와 색깔을 확인해서 색, 모양이 이상하거나 쉰 냄새, 퀴퀴한 냄새가 나면 바로 폐기합니다.

    (9) 냉동식품을 해동했을 경우 다시 재냉동하지 않아야 하며, 뚜껑을 땄거나 포장을 뜯어서 개봉한 식품은 다른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 또는 냉동보관하고 가급적이면 빠른 시간 내에 사용합니다.

    (10) 음식은 남지 않게 먹을 만큼만 조리합니다. 다만, 조리한 음식을 다 먹고 남았을 경우 냉장보관 하되 가급적이면 2~3일 이내 빨리 먹습니다.

    (11) 조리할 때 만드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에는 미리 씻고, 다듬고 썰어 준비해 둔 식재료들은 번거롭더라도 잠시 냉장 보관한 후 꺼내어 사용합니다.

    (12) 화장실 다녀온 후 , 70% 예방 가능

    (13) 과일 및 야채는 과일 야채 세정제를 이용하여 깨끗이 씻어서 먹습니다.

    (14) 음식물은 최소 1분 이상 및 74도 이상의 온도에서 충분히 속까지 익었는지 확인하고 섭취합니다.

    (15) 정수기 사용 시에는 정기적으로 청소 및 필터를 갈아주고, 물은 정수기, 생수 또는 끓인 물 등 안전한 물을 마십니다.

    (16) 식재료, 음식물 등 냉장고 보관 시 식품별로 공간을 따로 나누어 보관합니다.

    (17) 여름철에는 특히 남은 음식물,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초파리, 날파리 등이 생기기 쉬우므로 즉시 보관하고 처리합니다.

     

    식중독 걸렸을 때 주의사항

      구토나 설사로 인해 탈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 몸속의 수분과 전해질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금식은 절대 금물입니다. 아무리 음식이 몸에 받지 않아 먹기 싫어도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최소한 안전한 물 또는 이온 음료 등은 1리터 이상 마시도록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